자동사&타동사

1. 자동사(自動詞, じどうし)

 

🟡 주어가 스스로 행동하는 동사

 

🟡 목적어(を)를 필요로 하지 않음

 

🟡 누가/무엇이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경우

 

 

🔹 예시

자동사 (스스로 움직임)
ドアが開く (ドアが あく) 문이 열린다
窓が閉まる (まどが しまる) 창문이 닫힌다
電気がつく (でんきが つく) 불이 켜진다
車が止まる (くるまが とまる) 차가 멈춘다
風が吹く (かぜが ふく) 바람이 분다

 


 

2. 타동사(他動詞, たどうし)

 

🟡주어가 다른 대상(목적어)을 변화시키는 동사

 

🟡목적어(を)를 필요로 함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행동하는 경우

 

🔹 예시

.

타동사 (누군가가 작용)
ドア開ける (ドアを あける) 문을 연다
閉める (まどを しめる) 창문을 닫는다
電気つける (でんきを つける) 불을 켠다
止める (くるまを とめる) 차를 세운다
起こす (かぜを おこす) 바람을 일으킨다

.


 

3. 자동사 vs 타동사 비교 정리

자동사 (자연스럽게) 타동사 (누군가가 조작)
ドアが開く (문이 열린다) ドアを開ける (문을 연다)
窓が閉まる (창문이 닫힌다) 窓を閉める (창문을 닫는다)
電気がつく (불이 켜진다) 電気をつける (불을 켠다)
車が止まる (차가 멈춘다) 車を止める (차를 멈춘다)

 


.

4. 자동사 & 타동사 쉽게 구분하는 팁!

.

자동사“스스로 변화” (무언가가 저절로 움직이는 느낌)


타동사“사람이 작용” (누군가가 직접 조작하는 느낌)

예를 들어,

🔵 ドアが開く (문이 열린다) → 문이 스스로 열림

 

🔴 ドアを開ける (문을 연다) → 내가 문을 여는 행동

어떤 단어가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 헷갈리면 문장에서 “を”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면 돼요!